학생부 축소 '세특' 관리에 집중하세요
학생들의 입시 부담을 줄이고 대입 공정성 강화 방안에 따라서
평가 가능한 학생부 역시 감소 되고있습니다.
자기소개서 역시도 축소되고 있으며 2024년부터는 완전 폐지 예정입니다.
신경써야할 것들이 줄어든다는건 부담이 줄어드는건 맞지만
사실 입시를 직접적으로 학생 학부모 입장에서는
줄어든 요소만큼 어떤걸 집중해야하는지 반드시 알고 준비해야합니다.
오늘은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매우 유리한 요소로 대두되고있는
바로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이하 세특) 입니다.
세특은 일반적인 성적만으로 탐구역량이나
전공적합성, 발전 가능성, 인성 등 성적만으로는 알 수 없는
자신의 잠재역량을 보여 줄 수 있어 학생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보여 줄 수 있습니다.
세특은 담당 교사가 관찰하고 직접 작성한
학생의 탐구.학업 역량이나 관심 분야 등의 내용입니다.
과정평가 중에서 선생님의 시선으로 관찰한 개관적인 지표이다 보니
신뢰할 수 있는 요소로 대학들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세특 관리에 어려움을 느끼는데
사실 교내대회 등 수업 활동 외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은
세특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닙니다.
수업 활동을 하면서 함께하는 수행평가를 통해서
자신의 역량을 보여주는 기회로 생각하며 참여해야합니다.

게다가 그런 활동을 구체적이고 완성도 있게 만드는게 좋습니다.
단순히 수업을 위해 자료조사를 하고 마는게 아니라
보다 심화되고 확장된 콘텐츠를 만들어
발표를 한다던지 PPT나 영상을 제작해
해당 과목 선생님께 제출하여 선생님께 활동 사실을 알리는게 좋습니다.
다만 세특에 기록해달라고 요구해서는 절대안됩니다.
미리 선생님께 활동 사실을 제출해도 되는지 미리 문의하여
시간을 헛되이 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모든 과목에 세특을 위해서 활동을 할 수는 없으므로
학생 본인이 원하는 전공과 관련된 과목에 집중하거나
흥미로운 과정을 골라 참여하면서 탐색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입시는 결과이지만 평가는 과정을 평가합니다.
한번에 몰아치기보다는 차근차근 참여하다보면
과정 속에 남은 기록이 입시에서 힘을 발휘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