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을 반복만 해서는 안되는 이유


수학 문제집을 몇 권씩 풀어도

수능 킬러 문제는 손도 대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모의고사 4점짜리 킬러 문제를 못 풀게 된다면,

틀린 문제들만 쓱 보고 나서

'아직은 내가 부족해서 못 푸는 거구나

3점, 비 킬러 4점 문제를 더 풀어봐야겠구나'

라고 생각하면서 오답분석이 거기서 끝나고

똑같은 문제집을 풉니다.

이런 식의 반복은

3점과 비 킬러 4점짜리 문제를 푸는 속도와 정확도만 늘어서

분명히 점수는 향상되지만

킬러 문제 앞에서 좌절하고 더 이상의 점수 향상이 없다면

나는 킬러 문항은 못하는 머리인가 보다하고

학생 스스로 한계를 만들어버립니다.

하지만 이건 잘못된 반복학습 때문에 벌어진 일입니다.

다른 과목을 예로,

국어나 탐구 과목 문제를 틀렸을 때에는 풀이를 보면서

부족한 유형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해당 유형의 문제들을 더 풀어보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수학 문제는

비슷한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난도가 낮은 문제를 풀기 때문에

내가 정작 풀어야 하는 문제는 놓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킬러 문제는 접근법부터 풀이 과정 자체가

일반적인 비 킬러 문제보다는 한 번 더 꼬아서 생각해야 합니다.

그런 훈련은 같은 킬러 문제를 풀어야 훈련이 됩니다.

수능 수학 말고도

그냥 수학 진도를 나갈 때도

개념 공부는 잘했는데 3점 문제가 버겁다고

2점 문제만 계속 푼다고 일반유형 3점 문제로는 못 넘어갑니다.

끊임없이 버벅거리지만 내가 어려워하는 난이도의 문제를

계속해서 풀어줘야 성장합니다.

반복학습이나 오답풀이가 비효율적이다

라고 생각하는 친구들은

학생 스스로의 공부 방식이나 난이도 조절을

잘하고 있는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022-05-20

1시간 상당 신입테스트&공부법지도&진로상담100%무료로 받고 싶다면? 지금 바로 접수!